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학회소개

창립배경

한국약제학회가 탄생하기까지

한국약제학회는 1970년부터 단한가지 대한민국의 건강을 위해 달려왔습니다.
한국약제학회의 연혁을 소개합니다.

1970학회의 태동기

이해 7월 4일에는 대한약학회 약제학 분과학회(회장 우종학)가 열려 임원선거 및 학회운영에 관한 토의가 있었으며
서울대 이민화 교수의 특강(약제학 영역에서의 컴퓨터 이용)이 있었다. 이 자리에서 가칭 약제학회를 설립하기로 하고
추진위원회를 다음과 같이구성하였다.
← SCROLL →
2020년 집행위원진목록
학계대표 병원약국대표 연구소대표 제약계대표
김상민 (동덕여대)
김신근 (서울대학교)
강형태 (서울대부속병원)
문정술 (국립의료원)
지달현 (국립보건원)
이규송 (국립보건원)
정필근 (일동제약)
김준호 (한일약품)
이 추진위원회는 9월 22일 서울대 약대 약제학교실에 모여 이미 작성된 약제학회 회칙초안을 검토하였다. 이 때 참석한 사람은 우종학, 강형태, 김재완, 김상민, 김신근 교수의 5인 이었다. 이해 10월 13일 대한약학회 약제학 분과학회가 동덕여대 시청각실에서 우종학 분과학회장의 사회로 열렸다. 이날 참석한 회원은 약 20명이었다. 이날 회의에서 약제학회 설립 추진위원 6명을 추가로 다음과 같이 선출하였다.

용재익 교수 (숙명여대), 김종갑 교수 (중앙대), 한세호 교수 (충북대), 심관섭 (영진약품), 이병국 (동아제약), 김정수 (동아제약)

한국약제학회 창립의 해 1971

이해 7월 4일에는 대한약학회 약제학 분과학회(회장 우종학)가 열려 임원선거 및 학회운영에 관한 토의가 있었으며
서울대 이민화 교수의 특강(약제학 영역에서의 컴퓨터 이용)이 있었다. 이 자리에서 가칭 약제학회를 설립하기로 하고
추진위원회를 다음과 같이구성하였다.
2월 23일 오후 6시 드디어 한국약제학회 발기인대회가 서울대 약대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이 대회에서는 학회창립을 위한 상임 준비위원회(위원장 우종학 교수)를 구성하였다.
김재완, 노태선 교수 등 각계에서 27명이 참석 김신근 부교수 사회로 열린 발기회는 한세호(충남대) 교수의 경과보고에 이어 김상민 교수가 발기취지문을 낭동, 전원일치로 채택했다.
채택된 취지문의 주요내용은 약제학은 근래에 와서 재래의 약제학에 광범위한 기초분야의 새로운 지식을 도입,
신국면을 개척하고 있는 즈음 약제학의 지대한 발전과 인류복지에 공헌코저함을 목적으로 창립하며 다음과 같은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는 바이다.
  • 첫째

    한국약제학의 국제적인 고립성으로부터 일대 비약을 꾀한다.
  • 둘째

    산학일치의 선도적인 학회로서 역할한다.
  • 셋째

    실제약학과의 공고한 학문적인 유대를 강화한다.
  • 넷째

    의약품제제기술은 물론 과학화를 촉진한다.
  • 다섯째

    외국학회와의 유대 및 학술정보교환을 적극 추진한다.
이어서 창립 총회준비위원회를 구성, 위원장에 우종학 박사를 선출하고 학계를 비롯한 5개분야에 15명의 위원을 각각 선출,
3월 6일 오후 2시 위원회를 소집, 총회일자를 최종적으로 결정키로다. (장소 서울약대)선출된 5개분야 준비위원은 다음과 같다.
← SCROLL →
2020년 집행위원진목록
위원장 학계 병원약국 제약계 연구원 개국약사
우종학 김상민 (동덕여대)
김수억 (경희대)
김재백 (원광대)
강형태 (서울의대)
노태선 (경희의대)
장봉순 (시립아동병원)
심관섭 (영진약품)
이영수 (일성)
정필근 (일동)
지달현 (보연원)
이규송 (보연원)
이계주 (보연원)
김성준 (대약부회장)
윤상철 (서울시약 중구분회장)
한성은 (보광사약국)

1973학회사무실 확보

그 당시 한국과학기술자총연합회가 주관하여 우리나라 각종 과학기술단체가 한 건물 에 들어서
유기적 연락과 협조로 한국과학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취지로 한국과총 건물을 건립하고 있었으며 건축비의 일부를 충당하기 위하여
각 단체가 일정금액을 출자하면 학회 사무실을 영구히 사용토록 한다는 조건하에 각 학술단체에게 입주를 권장하고 있었다.
우리 약학분야에서는 대한약학회 와 한국생약학회 그리고 우리 한국약제학회등 모두 세 학회가 있었는데 타 학회는 여러 가지 사정이 있었는지 과총건물 입주신청을 하지 않았고 우리 약제학회만이라도 들어가는 것이 좋겠다고 임원회에서 결정이 되었다. 그러나 요는 입주자금이 문제였다. 우리는 20평의 학회사무실을 신청하는데 그 당시 금액으로 일백이십만원이 필요했다.
지금 돈으로는 얼마 안되는 액수지만 그때로서는 큰 금액이었다. 우리임원들은 회의 끝에 보령제약주식회사와 태평양화학공업주식회사 로부터 각 60만원 씩 협조 받기로 정하고 두 개 회사를 찾아갔다. 학회사무실 확보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협조를 간청하였는데 보령제약의 김승호 사장님과 태평양화학의 서성환 회장님의 적극적인 이해와 협조로 큰 금액을 우리 학회에게 희사하였다.
그 때 이 두분의 고마운 마음은 지금도 잊지 못하며 오로지 감사할 따름이다.

우리는 곧 한국과총에 가서 입주수속을 마쳤으며 현재도 20평의 학회사무실은 영구히 사용할 수 있도록 확보되어있다.
우리가 입주 수속하러 갔을 때는 16년 전 이어서 근처에 건물이 거의 들어서지 않아 허허 벌판이었다.
그러나 강남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역삼동 언덕위에 우뚝 서있는 당당한 과총건물이 건립되었던 것이다.

한국약제학회 역사

한국약제학회(The Korean Society of Pharmaceutical Science and Technology, KSPST)는
1971년 국내 약제학의 학문적 체계화 및 연구수준의 향상, 제약산업의 약제학 관련 기술의 발전을 도모하고,
학술교류 및 산업협력의 허브로서 기여하고자 하는 취지로 창립되었습니다.
1971년 11월 13일, 제1회 학술대회를 개최함과 동시에 공식적으로 창립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15일 『약제학회지』
(현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를 창간하여 학술적 기반을 확립하였습니다.

창립이래 한국약제학회는 의약품의 제제 설계, 약물전달 시스템, 제약기술 및 소재 개발 등 약제학 전반을 아우르는
전문 학술단체로서 연구 교류 및 산학연 협력을 촉진하는 중심 기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1960–1970년대

창립과 초석 구축

1969
05.01

대한약학회 약제학 분과학회를 통한 약제학회 발기 구상

1970
06.05

약제학 분과학회를 통한 약제학회 창립 안건 상정

09.22

한국약제학회 창립 추진위원회 구성 및 회칙 초안 작성

1971
02.23

한국약제학회 발기인 대회

03.25

한국약제학회 상임준비위원회 구성

06.26
창립 총회 개최(초대회장: 우종학 박사)
07.13

제1회 이사회 개최

07.26

제1회 기금운영위원회 개최

11.13

제1회 학술대회 개최 및 한국약제학회 공식 창립

11.15
『약제학회지』 창간호 발간
1972
12.16
제2회 총회 및 학술대회(국립의료원) 개최
1973
06.01
제1회 심포지움 개최

Revitalization and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Exchange

1980년대

중흥과 국제 교류의 발판 마련

1980
05.15

보건사회부의 『조제의 정의』의뢰에 대한 소위원회 구성

11.22
제10회 총회 및 학술대회(중앙대학교) 개최
1981
09.20

학회 창립 10주년 약제학회지 기념호 발간

09.25

창립10주년 기념 학술강연회 개최

1982
07.05
한국약제학회-대한약품공업협회 공동심포지움 개최
1985
04.26

한일제제세미나: 제10회 과학의 달 기념 심포지움 개최

1986
02.15

한국약제학회 사무실 현판식(종로구 돈의동 초동교회빌딩)

03.20

준사단법인으로 사업자(학술단체) 등록번호 지정

09.20

약제학회지 ISSN(0259-2347) 부여(제16권 제3호)

1988
02.16

한국약제학회 사무실 이전(서초구 방배동 제약회관)

03.01

약제학회지 “학회소식” 개시

04.20

비영리단체로 등록

05.20
제1차 제제세미나(풍림무약㈜ 후원) 개최
08.26

한국약제학회-제약협회 공동 하계 심포지움 개최

1989
05.23
W. Higuchi 교수 초청 강연회
08.25

제1회 제제기술워크샵 개최

Start of Internationalization

1990년대

국제화의 시작

1990
11.23
창립2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 개최
11.24
창립20주년 기념 총회 및 학술대회 개최
1991
01.01

『한국약제학회 20년사』 출간

03.08

『한국약제학회 20년사』 출간 기념회

03.08

약제학회지 표제 변경(제21권 제1호)

1993
09.13-14

FIP 서울국제심포지움: 제5회 제제기술워크샵 개최

1997
09.24-26
Controlled release society와 공동 심포지움 개최
1998
01.17

약제학회 사무실 이전(강남구 역삼동 과학기술회관)

02.20

약제학회 사무실 입주 기념식
약제학회지(1997년 발간본 까지) CD-ROM 검색 및 정보화
약제학회지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학술지 신청

1999
03.13

약제학회지 편집체계 개정

08.11

제1회 소양 산학컨퍼런스 개최

09.01

약제학회 한국학술진흥재단 국내우수학술지 평가 인증
약제학회 홈페이지(http://ksp.or.kr) 개설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2000년대

국제 협력 강화

2000
11.16-17

창립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개최

12.05-06

AAPS/FIP와 공동 국제 워크샵 개최

2001
09.01

약제학회지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 인증

2002
04.18-19

제1회 한일공동심포지움 개최

08.22
제2회 소양 산학 컨퍼런스 개최
2003
04.25

수석부회장제 도입

08.06

한국약제학회 사단법인 승인(식품의약품안정청)

09.16

사단법인 등기완료

11.21
Pre-Satellite 국제심포지움 개최
12.30

『한국약제학회 30년사 1971~2000』 출간

2004

약제학회지 증간(연 6회 발간)

05.28
제2회 한일공동심포지움 개최
2005

학회영문명 변경(The Korean Society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Technology, KSPST)

학회 이메일 및 홈페이지 주소 변경(www.kspst.or.kr)

약제학회지 표지 및 로고 변경(제35권 2호)

2006

약제학회지 투고시스템 개편(이메일 투고)

2007

약제학회지 DB구축 완료

2008
03.17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PSJ)과 업무협약 체결

2009
08.26

제1회 임원워크샵 개최

Journal Internationalization

2010년대

학회지의 국제화

2010
06.

학술지 명칭을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JPI)』으로 변경, 영문 저널로 전환

12.02~03

제40회 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개최

2012
02.

JPI가 Springer Nature를 통해 정식 출판 시작

11.29~30

국제학술대회에서 Job Fair 개최 시작

2013
11.20~22
2013 Asian Federation for Pharmaceutical Sciences (AFPS) Conference 개최
2014
06.10
제1회 제제기술포럼 개최
10.06~07
FIP BA/BE Symposium 개최
2015
08.21

한국제약협회와 업무협약 체결

09.04

생명약학연구회와 업무협약 체결

10.25~29

AAPS Joint Symposium 개최

11.19~20

국제학술대회에서 Early Birds School 개최

2016
06.24~25
한일젊은과학자워크숍 개최
11.13~17
AAPS Joint Symposium 개최
2017
02.13~14

한국약제학회-생명약학연구회 동계심포지엄 개최

2018
02.13~14
제1회 Korean Pharmacokinetics Bootcamp Workshop개최
02.13~14
한일젊은과학자워크숍 개최
2019
07.03~05
2019 9th Asian Association of Schools of Pharmacy (AASP) 개최
10.22

Pharmaceutics와 업무협약 체결

11.22

JPI-AJPS 업무협약 체결

Digitalization and Expansion of Academia-Industry Collaboration

2020년대

디지털 활성화와 산학협력 다각화

2020

홈페이지 전면개편, 수석부회장 전자투표제 도입

11.19~20
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온/오프라인 생중계로 개최
2021

JPI의 SCIE 등재

03.17

Controlled Release Society (CRS) Korea Local Chapter 승인 서울대 약학대학 오유경 교수님 운영 기금 기부

11.19~20
제50회 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온/오프라인 생중계로 개최
2023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약제학회 회원의 연구분야 소개 책자 배포

故김종국 교수님 후원에 의한 김종국 학술상 제정

2024

영문 홈페이지 구축

『한국약제학회 산학 DB』시스템 구축